본문 바로가기
이슈

한국이 글로벌 테마파크의 불모지가 된 이유

by 경제이슈왕조푸짐 2024. 11. 10.

한국은 왜 글로벌 테마파크의 불모지가 되었나? 

디즈니랜드와 유니버설 스튜디오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광객을 끌어모으는 대표적인 글로벌 테마파크입니다. 일본에는 도쿄 디즈니랜드와 오사카 유니버설 스튜디오가 자리 잡고 있으며, 중국에도 상하이와 홍콩 디즈니랜드가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는 아직 이와 같은 대형 글로벌 테마파크가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이 왜 글로벌 테마파크 유치에 실패했는지, 그 이유를 분석하고 최근 경기도 화성시에 건설될 예정인 파라마운트 테마파크 프로젝트를 통해 앞으로의 가능성을 살펴보겠습니다.

1.1 높은 땅값과 경제적 부담

한국의 수도권은 매우 높은 땅값으로 유명합니다. 대형 테마파크는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는데, 수도권에서 땅값이 평당 1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대부분의 사업자는 채산성을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경제적 부담은 과거 디즈니와 유니버설 스튜디오가 한국 진출을 고려했다가 번번이 포기하게 만든 주된 요인입니다.

1.2 안정적인 방문객 확보의 어려움

글로벌 테마파크의 성공은 관광객뿐만 아니라 주변 거주 인구의 시장 형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도쿄 디즈니랜드는 도쿄와 그 주변에 거주하는 인구 덕분에 안정적인 방문객 수를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반면 한국의 경우 서울과 경기도의 인구 밀도는 비교적 높지만, 도쿄처럼 집중된 대규모 인구는 아니어서 안정적인 수요를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2.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부족

글로벌 테마파크를 성공적으로 유치하려면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다양한 규제와 복잡한 행정 절차가 걸림돌이 되어왔습니다. 춘천에 건설된 레고랜드의 사례는 이를 잘 보여줍니다. 이 프로젝트는 지자체의 지원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유치부터 개장까지 10년 이상이 걸렸으며, 개장 후 첫해에 300억 원의 적자를 기록할 만큼 방문객 유치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2.1 교통 인프라 부족

글로벌 테마파크의 성공은 교통 인프라와 접근성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본의 디즈니랜드는 대중교통망과 잘 연결되어 있어 관광객 유치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이런 교통망이 충분히 확충되지 않아 투자를 유치하는 데 불리하게 작용했습니다.

3. 최근의 변화: 파라마운트 테마파크 프로젝트

3.1 프로젝트의 개요와 기대

경기도 화성시에 2029년 개장을 목표로 파라마운트 테마파크가 건설될 예정입니다. 파라마운트는 '탑건', '미션 임파서블'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IP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다양한 놀이기구와 볼거리를 선보일 계획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신세계 그룹이 주도하며, 경기도와의 협력을 통해 대대적인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3.2 긍정적 전망과 잠재적 위험

이 프로젝트는 한국이 과거 실패했던 요소들을 극복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불안 요소도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파라마운트의 인지도는 디즈니나 유니버설 스튜디오보다 낮아 방문객을 지속적으로 끌어들일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존재하며, 신세계 그룹의 테마파크 운영 경험이 부족하다는 점도 우려됩니다.

4. 글로벌 테마파크의 성공과 실패 사례

4.1 성공적인 사례: 일본 디즈니랜드와 유니버설 스튜디오

일본의 디즈니랜드는 교통망과 접근성이 뛰어난 곳에 위치해 안정적인 방문객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점은 한국에서도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화성시에 건설될 파라마운트 테마파크도 교통 인프라와 접근성 문제를 개선하는 데 집중해야 할 것입니다.

4.2 실패 사례: 홍콩 디즈니랜드

홍콩 디즈니랜드는 개장 후 7년간 적자를 기록했으며,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4천억 원 이상의 손실을 입었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글로벌 테마파크 운영이 얼마나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는지를 보여줍니다.

5. 결론과 앞으로의 과제

한국의 글로벌 테마파크 유치 실패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그러나 파라마운트 테마파크 프로젝트는 이러한 과거의 실패를 교훈 삼아 추진되고 있습니다. 성공적인 유치를 위해서는 충분한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 안정적인 방문객 확보 전략, 그리고 지속 가능한 교통 인프라가 필요합니다. 2029년 개장을 목표로 한 이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자리 잡는다면, 한국은 드디어 글로벌 테마파크 시장에 진입할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