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금 가격이 현재 오를수 밖에 없는 이유

by 경제이슈왕조푸짐 2024. 10. 20.

현재 이시점에서 금 가격은 왜 오를까요? 사실 금리만으로 금값이 움직이는 것은 아니며, 그 뒤에는 여러 가지 복잡한 이유가 있습니다. 다음의 내용을 통해 최근 금값 상승의 진짜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금값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오르거나 내리면 금값도 그에 따라 움직인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실제로는 장기적으로 큰 연관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1980년대부터 금리는 꾸준히 하락했지만, 금값은 같은 시기에 오히려 하락한 적이 있었던 것입니다. 이처럼 금리와 금값은 반드시 반대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금값을 진짜로 움직이는 요인은 무엇일까요? 바로 중앙은행이 금을 얼마나 매입하느냐입니다. 특히 2004년 금 ETF가 출시되면서 금값이 급격히 상승했으며, 2009년 이후에는 중국이 대규모로 금을 매입하기 시작하면서 금값이 본격적으로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중요한 것은, 중국과 러시아 같은 공산권 국가들이 주로 금을 매입하는 반면, 미국이나 유럽 같은 친미 국가들은 금을 잘 매입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는 금과 달러의 관계 때문으로, 금을 많이 매입하면 달러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은 금보다 다른 자산을 선호하며 동맹국 및 친미국가들도 금을 잘 매입하지 않습니다.

또한 과거에도 있었던 것처럼 현재 진행되는 신냉전 구도가 지속될수록 금값은 더 오를 가능성이 큽니다. 2022년 러시아가 스위프트(SWIFT) 제재를 받은 이후 러시아의 금 매입이 급격히 증가했는데, 이것이 금값 상승을 촉발시킨 중요한 요인이 되었습니다. 세계가 불안정할수록 사람들은 안전한 자산을 찾게 되고, 그때마다 금이 주목받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금값 상승은 단순한 자산 가치의 변화가 아니라, 세계 정치와 경제적 불안정의 신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금의 대체재로 비트코인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금이 오를 때 비트코인도 함께 오르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비트코인이 물리적 보관비용이 거의 들지 않으면서도 달러 대신 안전자산으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흥미롭게도, 미국은 금보다 비트코인에 더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비트코인을 통해 달러의 기축 통화 지위를 유지하려는 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구리석유는 왜 금처럼 오르지 않는지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보관 비용 때문입니다. 금이나 비트코인은 보관이 쉽지만, 구리나 석유는 대량으로 보관하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그래서 구리나 석유는 장기적으로 금처럼 가치가 크게 오르지 않는 것입니다.

한국은행도 금을 많이 매입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금을 자체적으로 보관하지 않고 영란은행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쟁 같은 위기 상황이 발생했을 때 영국이 한국에 금을 돌려줄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해, 한국은행은 금을 많이 매입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대신 개인이 금을 보유하도록 장려하고 금 투자에 세제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이는 위기 상황에서 개인이 보유한 금이 국가 자산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금값 상승의 진짜 이유는 금리 변동이 아니라 중앙은행의 금 매입에 있습니다. 특히 냉전 구도가 이어지는 한, 금값은 계속해서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세계가 불안정할수록 사람들은 금과 같은 안전자산을 선호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도 정치와 경제적 상황에 따라 금값은 큰 영향을 받을 것이며, 금은 단순한 자산이 아닌 경제적 안정성의 상징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할 것입니다.

부동산 앞으로 과연 상승할까?

 

상승론자의 입장에서 판단해본 부동산 전망

금리 인하와 집값 상승 압력금리 인하는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한국은행의 분석에 따르면, 대출 금리가 0.25% 하락할 경우 서울의 주택 가격 상승률은 0.83% 상승할 가능

fastissue33.tistory.com

인공지능 버블은 버블일까? 혁신일까?

 

인공지능 버블은 어떻게 끝나게 될까?

최근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산업, 특히 엔비디아(NVIDIA)와 TSMC(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와 같은 주요 기업들의 주식 변동과 관련된 시장 상황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주가가 상

fastissue33.tistory.com

 

반응형